닫기

‘정도경영’ 부친 뜻 따라…최윤범 회장, 고려아연 새로운 50년 이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6010001513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5. 10. 06. 18:05

최창걸 최윤범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왼쪽)이 6일 향년 84세 일기로 별세했다. 차남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오른쪽)은 부친의 뜻을 이어받아 고려아연을 글로벌 톱 제련사이자 자원 강국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다짐했다. 사진은 최 명예회장과 최 회장이 각각 울산 온산제련소를 찾은 모습./고려아연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비철제련업을 시작해 어느덧 세계에서 손꼽히는 회사가 된 고려아연. 최창걸 명예회장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꾸준하고 성실한 '정도경영'을 펼쳐왔다. 최 명예회장의 차남인 최윤범 회장은 부친의 뜻을 이어 친환경 소재기업이자 탈중국 광물 공급망을 책임지는 회사로서 고려아연의 미래를 이끌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6일 84세 일기로 별세한 최 명예회장의 차남 최윤범 회장은 지난 2022년 작은아버지인 최창근 명예회장에 이어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4년째 회사를 이끌고 있다. 최 회장은 조부 최기호 공동창업자, 부친 최창걸 명예회장, 숙부 최창근 명예회장의 뜻을 이어받아 현장을 중시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회사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최 회장은 3세 경영인으로서 회사의 친환경·글로벌 비전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특히 부친 최창걸 명예회장이 강조해온 '현장에 답이 있다'는 철학에 맞춰 철저한 현장 중심 경영을 펼쳐왔다. 최 회장은 온산제련소와 페루 광산, 호주 SMC 제련소 등에서 현장 경력을 쌓고 2019년 고려아연 대표이사로 취임해 미래 성장을 이끌었다.

다만 최근 공동 창업자인 영풍·MBK파트너스와의 경영권 분쟁을 시작으로 성장에 부침을 겪을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수십년 간의 동업 관계는 최창걸 명예회장이 숙환으로 병상에 누운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급변하면서 재계가 들썩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 회장은 글로벌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기업을 성장시켜 나가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전략광물 확보 경쟁에서도 고려아연은 탈중국 공급망 허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고려아연은 최근 열린 한미정상회담 기간에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구매 및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에 맞춰 울산 온산제련소에는 1400억원 가량의 자금을 투입해 게르마늄 공장을 신설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6월에는 미국에 처음으로 안티모니를 수출, 향후 수출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아울러 인듐, 텔루륨 등을 생산해나가면서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왼쪽부터)최창근 고려아연 명예회장, 최창걸 명예회장, 최창영 명예회장
최창근 고려아연 명예회장, 최창걸 명예회장, 최창영 명예회장(왼쪽부터)./고려아연
최 회장은 취임 이후 기후변화와 탈탄소 시대를 맞아 신재생 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이차전지 소재사업·자원순환 사업 등 이른바 '트로이카 드라이브' 3대 신사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정하고 이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이는 최창걸 명예회장의 뜻을 이어받은 새 전략으로, 최 명예회장은 환경친화기술 등 첨단 신기술 개발과 해외 자원개발, 희소금속 및 도시광산 사업 등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자원강국으로 거듭나자는 뜻을 밝혔던 바 있다.

최 회장은 이러한 부친의 뜻을 이어 1년 넘게 지속되는 경영권 분쟁 속에서도 트로이카 드라이브 중심의 신사업 부문을 확대하며 10년 후 매출 25.3조원, 연평균 10%의 성장률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신재생 에너지 및 그린수소 분야에서는 호주 맥킨타이어 풍력발전소의 성공적인 부분 가동과 SunHQ 실증사업 등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려아연은 지난해 신재생에너지에 5666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이는 2023년(492억원) 투자액 대비 12배가량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치다.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는 동박 생산과 하이니켈 전구체 양산, 올인원 니켈 제련소 건설 등을 통해 미래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니켈제련소는 고려아연의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원료를 단일 제련소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세계 유일한 시설로, 오는 2027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한다.

또 글로벌 최고 수준 제련기술을 바탕으로 폐기물, 부산물에서의 자원 회수도 극대화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최근 미국 IT자산 관리 기업 MDSi를 인수했고, 2022년에는 미국 전자폐기물 재활용 기업 이그니오 홀딩스를 인수한 바 있다. 지난해에도 미국 고철 트레이딩 업체 캐터맨을 인수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최 회장은 영풍·MBK파트너스와의 분쟁에도 트로이카 드라이브를 확장하며 성장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지난 8월 1일 최 회장은 "지난 11개월의 태풍을 견뎌내는 동안에 우리는 같은 방향을 바라보며 포기하지 않고 멈추지 않았다"며 "파도는 계속 치겠지만, 우리의 목표를 잊지 않고 서로를 나침반 삼아 단결한다면 고려아연은 다시 한번 세상을 놀라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