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회에는 대책위 소속 주요 관계자와 제1보상대책위원회 임경호 위원장, 사업지구 일대 주민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집회는 평택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민피해를 최소화하고 토지주와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열렸다.
평택지제역세권 공공택지 개발사업은 정부가 평택시 지제동·신대동·세교동·고덕면 일원 137만평에 3만3000가구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24년 12월 31일 정식 지구 지정됐다.
애초 올해 상반기 지구계획 승인과 기본조사를 거쳐 2027~2028년 보상과 착공, 2033년 준공·입주를 계획했지만, 인력과 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계획이 2년 이상 늦춰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평택지제역세권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살아온 주민들이 500년 동안 지켜온 역사를 가진 마을이다"면서, "사업 추진과정에서 공익사업인 만큼 주민의 피해와 희생이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책위는 "이를 위해서는 조속히 사업을 추진하고 우선 토지보상과 함께 사업 일정에 대한 합동주민설명회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책위는 "장기간 토지 등을 보유하고 있는 지주들을 위해 장기보유특별공제율에 대한 단계별 감면확대를 최대 80%까지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국토부 한 관계자는 "대책위 요구에 대해 검토를 통해 수용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택지제역세권 주민대책위원회 우제욱 위원장은 "우리 마을은 500여년이 넘는 동안 대대로 살아온 주민들이 대다수이다"면서, "공익사업도 좋지만, 사업 추진에 있어 주민들의 피해와 희생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 위원장은 "이를 위해서는 주민과 숨김없이 상생을 하는 것이 사업 추진에 있어 핵심적인 일이다"며 "이 모든 것이 적정하게 진행될 경우 주민들도 사업추진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우 위원장은"오늘 함께 해주신 제1보상대책위원회 임경호 위원장과 대책위 뜻을 받아 주신 국토부 관계자분들에게 고개숙여 감사를 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