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피해 급증 속 행정 보안망 마비
국정원, 사이버위기경보 이례적 상향
|
1일 오후 2시 기준 647개 정부 시스템 중 15.6%에 해당되는 101개만 정상화됐다. 정부는 전체 복구까지 최대 4주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전산실 내 서버와 장비가 소실되면서 방화벽과 침입탐지시스템(IDS) 등 보안 장비도 함께 마비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가 허브' 격 서버 보안망이 올스톱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이번 사태는 최근 중국 등 해외발 해킹 공격이 급증하는 와중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올해 상반기 국내 기업 사이버 피해 건수는 103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지난 4월 SKT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로도 예스24, 롯데카드 등 기업 대상 사이버 공격은 이어졌다. 정부기관 역시 마찬가지다.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 해커들이 우리나라 온나라 시스템을 공격해 취약점까지 확보했다. 국가 행정을 총괄하는 서버에 보안망도 취약한 지금은 해킹의 '적기'일 수밖에 없다.
국정원도 외부 사이버 위협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정원은 지난달 29일 오후 6시를 기해 사이버 위기경보를 기존 '관심' 단계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국가 단위 사이버 위협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인데, 통상적으로 대선 기간이나 전쟁 발발 시에만 발령된다. 국정원은 올해 잇따른 기업 침해에도 '관심' 단계를 유지했다. 정권 교체기가 아닌 평시에 발령된 것은 전세계적으로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2017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이번 사태가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정부 차원에서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