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직후 대출잔액 둔화세…9·7 대책 이어지면서 본격화
서울 집값 상승세는 여전…주담대 '불씨'에 기준금리 동결 관측도
|
1일 금융권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64조949억원으로, 전월 대비 0.09% 증가했다. 이는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본격 시행되기 전인 6월 증가율(0.9%)과 비교하면 0.81%포인트 축소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주담대 잔액은 608조9848원으로, 전월 대비 0.22%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6월 대비 0.75%포인트 축소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통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총량 목표 50%(정책대출 25%) 감축, 수도권 주담대 총액 6억원·생활자금 목적 1억원으로 한도 축소·수도권 대출 만기 30년 제한, 수도권 LTV 강화 및 정책대출 한도 축소, 전세보증비율 강화 등을 내놓았다. 이어 9월 7일에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등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담대 담보인정비율(LTV)을 50%에서 40%로 강화하고, 주택 매매·임대사업자의 주담대 취급을 전면 금지했다.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도 일괄 2억원으로 축소됐다.
이 같은 규제의 영향으로 7월 가계대출 잔액은 758조9734억원으로 전월 대비 0.5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은 6월 대비 0.35%포인트 축소됐다. 9월까지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는 점차 진정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문제는 서울 아파트값이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주담대 수요가 다시 확대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넷째 주(25일 기준)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9%로, 전주보다 0.07%포인트 확대됐다. 9월 첫째 주와 비교하면 0.11%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정부는 9·7 대책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대부분이 수도권 외곽에 집중돼 있고, 실제 입주까지 최소 4~5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서울 집값 진정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서울 집값 상승세 등 가계대출 불씨가 여전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최근 정부의 부동산 관련 대책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는 약화됐지만, 서울 등 수도권의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는 여전히 제한적"이라며 "주택시장 기대심리 관리를 위해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