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MBK ‘이중 포화’…홈플러스·롯데카드로 국감 최대 표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1010000602

글자크기

닫기

박이삭 기자

승인 : 2025. 10. 01. 18:00

홈플 회생·롯카 정보 유출 전면 검증
사모펀트 '엑시트' 위주 경영 도마 위
전단채 비대위·입점주도 참고인 채택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관련 대책 간담회 ...<YONHAP NO-2675>
지난달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재발 방지 간담회에 참석한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왼쪽)과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연합뉴스
올해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MBK파트너스가 '집중 포화'를 맞을 전망이다. 투자업권에서는 홈플러스 회생 사태로, 금융업권에서는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로 질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두 기업 모두 MBK가 대주주라는 점에서 사모펀드(PEF)의 경영 책임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홈플러스 기업가치 훼손과 10년 만에 재발한 롯데카드 보안 사고가 동시에 터지면서 MBK는 국감 최대 표적이 된 모양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윤종하 MBK 부회장, 김광일 홈플러스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등 5인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들이 요구받은 출석일은 오는 14일이다.

홈플러스 경영진이 출석 요구를 받은 건 홈플 기업회생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아서다. 지난달 MBK는 홈플 사태가 터진 지 6개월 만에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비난의 목소리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당초 6월이었던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세 차례나 연기돼 다음달 10일로 미뤄졌다. 그 사이 MBK파트너스는 자사가 보유한 2조5000억원 상당의 홈플 보통주를 무상소각하겠다고 밝혔는데도 홈플을 인수하겠다는 회사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점포에서 전기료를 미납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홈플의 유동성 악화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도 했다.

MBK 측은 "(MBK로부터) 국감 출석 상황은 전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도 경영진 출석 여부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국감에서는 홈플러스 전자단기사채 손실 사태와 홈플 입점업체 문제도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무위가 이의환 홈플 전단채 투자자 비상대책위원장과 김병국 홈플 입점주 대표 등 2명을 국감 참고인으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이들의 출석 요구일 역시 이달 14일이다.

현재 전단채 비대위는 매주 수요일마다 전단채 최대 판매사인 하나증권 사옥 앞에서 전액 손실된 투자금을 보전해 달라는 집회를 열고 있다. 비대위 측은 금융감독원이 손실 보전에 대한 비조치의견서를 냈다는 점을 근거로 원금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도 국감 추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정무위는 특히 MBK가 엑시트(회수)에만 집중한 나머지 정보보호 예산과 인력 투자를 소홀히 했다는 의혹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PEF의 단기 수익 중심 경영이 기업의 보안 체계를 약화시켰다는 비판이다.

한편 김용범 메리츠금융그룹 부회장도 정무위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에서 자금을 빌려 줄 때 하도급업체로 하여금 연대보증을 서게 했다는 의혹에서다. 김 부회장의 국감 출석 여부 또한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박이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