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세월호 침몰]“대형 참사… 유가족 보다 일반인이 더 위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0428010016325

글자크기

닫기

신종명 기자

승인 : 2014. 04. 28. 13:54

하정미 교수 "우울증 전력 자살충동 우려… TV만 봐도 PTSD 가능"
하정미3
하정미 장신대 교수

하정미 부산 장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42)는 28일 “대형 참사가 발생할 경우 유가족 보다 제2, 제3자가 더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이는 과거 자신이 생명의 위협을 느낀 상황을 반복, 되풀이한다는 의미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정의와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하 교수는 이에 대해 “사람이 예민해지고 마음이 연약해지면서 TV만 봐도 PTSD를 느끼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PTSD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하 교수는 세월호 침몰 6일째인 지난 21일 새벽 2시쯤 전남 진도군실내체육관 한 켠에 ‘심리상담’ 천막센터가 설치한 뒤 지난 25일까지 상담 활동을 펼쳤다.

하 교수는 “맨 처음 사고 소식을 듣고 현장을 확인해 보니 비밀보장이라는 상담의 기본도 안 갖춰졌다는 소식을 듣고 봉사활동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하 교수가 체육관을 찾기 전까지만 해도 사면이 전부 개방돼 상담치료 차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가 상담활동을 시작하자 봉사자와 기자들은 상담에 적극적인 반면 실종자 가족의 발길은 뜸했다고 전했다.

하 교수는 "매일 4~5명에게 심리 상담을 했는데 실종자 가족은 3명 정도였고, 나머지는 기자와 자원봉사자였다"며 "실종자 가족은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해 제2의 피해자가 위험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봉사자들은 매일 침울한 실종자 가족을 대면해야 하니 심적으로 힘들 수밖에 없다. 기자들은 언론인으로서 해야 할 일이 있는데 사명감과 현실과의 괴리감 때문에 고통을 호소한다”고 전했다.

특히 우울증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이 TV 등을 통해 사고 소식을 접할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 교수는 “9·11 테러 당시 ‘세상이 너무 두렵고 무서워서, 살기 싫다’며 한 미국 여학생이 손목을 그어 자살을 시도한 적 있다”며 “대형 참사는 제3자의 자살로 연결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는 TV를 보기가 두렵거나, 뉴스를 보며 눈물을 흘린다면 TV시청을 하지 않고 다른 일을 찾을 것을 권고했다. 

신종명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