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에너지믹스 토론회] 홍광희 한전 부장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에 시장 참여자들의 도움 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6010014701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9. 26. 16:21

26일 AI시대, 에너지믹스 마련 토론회 개최
14년만에 '원전22기 규모' 전력수요 필요해
재생에너지 주력자원화에 계통 불안정성도 ↑
한전, 권역별 맞춤형 전력망 운영 전략
"전력 수요·공급 일치가 미래 핵심"
AI시대, 에너지믹스 해법 마련을 위한 토론회
아시아투데이 송의주 기자 = 홍광희 한국전력공사 계통기술실 부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AI시대, 에너지믹스 해법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전력망 과제와 대응전략'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전력계통 방향이 재생에너지의 유입에 따라 양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전력시장의 플레이어들도 다양화됐습니다.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에 있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플레이어들이 일정 수준 기여를 해야 합니다. 그래야 RE100·CF100 등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26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AI 시대, 에너지믹스 해법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홍광희 한국전력 계통기술실 부장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주력자원화에 따른 전력산업 변화를 언급하며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능력만으로는 전력계통 운영이 힘들다"고 이처럼 강조했다.

최근 반도체 산업·인공지능(AI)·전기화 등 영향에 따라 전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지난 2024년 대비 2038년엔 원전 22기에 해당하는 신규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지금 확산 속도에 따르면 신규 전력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여기에 기후위기 영향에 화석연료와 원전 등 주력 전원들이 재생에너지로 무게가 옮겨지고 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오는 2038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125.9기가와트(GW)로, 여기서 태양광이 77GW·풍력이 41GW 규모다. 주력전원이 재생에너지로 변화하면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변동성에 대한 문제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력당국은 전력계통 운영방안을 과거 '하·동' 2회에서 '춘·하·추·동' 사계절 4회로 늘려 수립하고 있다.

홍 부장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아질수록 하루에 20GW 수준의 전력수요가 오르내리고 있다"며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해서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하게 되면, 주파수가 급격하게 하락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이는 태양광과 풍력이 일반발전기에서 탈락하게 되는 것이고, 결국 전력계통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전력 수요와 공급의 지역편중 심화 현상이 송·배전망(전력망) 확충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한전은 권역별 맞춤형 전력망을 구축해 안정성과 효율성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홍 부장은 "이제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잡기 위한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잡는 것이 미래 전력망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수요와 공급의 시간적, 지역적 불일치를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한전은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전력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전은 △해상풍력 공동접속설비 도입 △주파수 조정용 ESS·계통안정용 ESS △고객참여 부하차단제도 등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특히 한전은 '60헤르츠(Hz)' 수준의 주파수 유지를 위해 ESS를 운영하고 있다. 주파수 조정용 ESS는 신용인 등 전국에 총 426메가와트(㎿)를 운영 중이며, 계통안정용 ESS는 예산·영주 등에 978㎿ 규모를 운영하고 있다. 한전은 계통안정용 ESS를 2028년까지 300㎿ 추가 신설하겠다는 계획이다.

홍 부장은 "수요 측면에서도 계통안전 자원화를 위해 고객참여 부하차단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계통 주파수 하락시 사전에 계약된 고객 부하를 긴급 차단해 계통 안정화를 꾀하는 것으로, 한전의 재원을 투입해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예전에 전력수급의 위기 순간은 하계와 동계였지만, 이제는 춘하추동 4계절이 모두 비상수급 기간에 해당한다"며 "기존 전력망 체계는 이제 한계에 봉착했다. 혁신 없이는 새로운 리스크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든 시장 플레이어들이 전력수급 안정에 일정 수준의 기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