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지난 30일 "지천댐 건설은 충분한 대안 검토와 주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공감대가 형성된 뒤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지역사회의 오랜 찬반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지난해 지천댐이 신규 댐 건설 후보지에 포함되자 청양군 지역사회는 찬성과 반대로 팽팽히 맞서며 심각한 혼란을 겪었다.
이에 청양군은 환경부 발표 이전부터 "지역에 일방적인 피해를 주는 댐 건설은 반대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며 주민들의 우려를 대변해왔다.
청양군은 "군수가 특정 입장에 치우치기보다 조정자이자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기조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군민 갈등이 심화되자 피해 의식과 상실감을 해소하고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군민 여론이 높아졌다.
청양군은 지난해 찬반 양측의 요구 및 우려 사항을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우려 △규제 및 행정 제재 △안개 발생 피해 △대청댐-지천댐 동시 방류 시 제방 붕괴 위험 △농축산업 기반 상실 대책 △생태계 파괴 대책 △요구 사항에 대한 약속 이행 등 7개 항목으로 정리해 환경부에 전달하며 강력하게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지만 환경부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10월 7일에는 "지천댐 건설에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하며 조건부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후 군은 지난 4월 상류지역 하수처리시설 설치 건의, 5월 충남도에 지역 발전 방안 제안 등 다각적인 대응을 이어갔다.
새 정부 출범 후 환경부의 주민 공론화 방침을 겸허히 수용한 청양군은 앞으로 추진 과정에서 찬반 양측의 의견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청양군 관계자는 "군민들께서도 찬반에 따른 대립과 반목을 내려놓고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여론 수렴 과정에 적극 참여해 달라"며 "최적의 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지천댐은 충남 서남부권의 상습적인 물 부족 해소 대책으로 추진된 사업이지만 환경 훼손 우려 등으로 지역사회 찬반 갈등이 거세다.
충남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추진 중인 지천댐은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다
이는 대청댐(14억9000만㎥)의 4%, 보령댐(1억1700만㎥)의 50% 수준이다.
본격 가동 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38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