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지휘권 관련 질문에도 침묵
|
노 대행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대검) 청사에 출근하면서 '용퇴 요구에 대한 입장이 있느냐', '이진수 법무부 차관으로부터 수사지휘권 관련 언급을 들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 없이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대장동 개발비리 사건에 대한 항소장을 제출 기한 내에 법원에 제출하지 않았다. 수사·공판팀은 항소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지만, 대검 지휘부가 법무부 의견을 반영해 항소 불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 내부에서는 노 대행에게 항소 포기 결정의 경위를 밝히라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검사장 18명은 지난 10일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에 '검찰총장 권한대행께 추가 설명을 요청드린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노 대행이 밝힌 입장에는 항소 포기의 구체적 경위와 법리적 근거가 전혀 포함돼 있지 않아 납득하기 어렵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노 대행은 전날 건강상의 이유로 연가를 내고 자택에서 거취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노 대행이 사퇴할 경우 검찰은 '대행의 대행' 체제로 전환된다. 대검 부장 중 선임자인 차순길 기획조정부장이 노 대행의 직무를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심우정 전 검찰총장 사퇴 이후 130일 넘게 이어진 총장 공백에 차장까지 사퇴할 경우 검찰 지휘 체계 붕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